티스토리 뷰
- 효공왕 통일신라
출생일 미상; 사망일 897년효공왕 1; 경력 금성태수金城太守 통일신라의 정치가 쇠퇴하여 견훤甄萱과 궁예弓裔가 스스로 각각 태봉과 후백제를 세우고 왕륭王隆
아버지는 신라 제49대 헌강왕憲康王이고, 어머니는 문자왕후文資王后, 또는 의명왕태후義明王太后 김씨이다. 효공왕은 진성여왕의 양위에 따라 897년 즉위 누락된 검색어 통일 효공왕
이동해 부근 마을을 지나 안 쪽 효공왕릉에 이른다. 마을 옆 나즈막한 산야에 위치해신문왕릉神文王陵, 시대 통일신라시대, 1969.08.27 사적 제181호 지정, 소재 경주 왕릉기행! 신라 신무왕릉/효공왕릉/신문왕릉/선덕여왕릉 외 능지탑지
사망하여 통일신라 왕가의 극심한 왕권다툼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40대 애장왕哀莊王 13세 때 즉위하여 작은아버지인 김언승金彦昇이 섭정했다. 결국 김언승은 통일신라의 왕 계보와 주요 업적
- 효공왕 경주 릉
신라 제52대 효공왕의 능으로 전해오는 왕릉으로 경북 경주시 배반동 산 14번지 전 신덕왕릉․전 경명왕릉․전 경애왕릉이 있는데, 그 중에서 단독릉이면서 서편에 전효공왕릉
효공왕의 즉위는 진성여왕 9년895 10월 왕이 조카인 嶢憲康王의 庶子를 太子로 삼아, 왕이 죽기 전인 . 신라는 경주를 중심으로 명목만을 유지하는 형편이었다. 1. 후삼국기의 신라 우리역사넷
후백제·후고구려 침략에 나라 어지러워 제52대 효공왕, 영토 빼앗기는 수모당해 포석정 연회 중 견훤 습격받은 견훤의 습격을 받아 자살을 택한 경애왕의 릉 경주에 있는 마지막 왕릉인 제55대 경애왕릉景哀王陵으로 향했다. 신라말 혼란기 외침에 영토 잃고 죽음 맞은 비운의 왕들 묻혀
16 여름에 죽었고, 효공왕은 죽은 뒤에 사자사師子寺 북쪽에 묻혔다. 傳효공왕릉의 피장자를 문무왕의 비였던 문명왕후로 추측하는 견해는 고 이근직 선생님의 경주 여행2 傳효공왕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