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복시 살곶이 목장지도 터 거덜 제조
- 사복시 살곶이 목장지도
사복시 살곶이 목장지도 목장지도는 사복시가 국가의 중대한 마정馬政의 정책 수립에 활용하기 위하여 전국의 감목관에게 명하여 목장의 실태 목장지도
17881802년 사이에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되는 사복시에서 만든 살곶이 목장 지도에 의하면 그 둘레는 약 20km에 이르는데, 여러 문헌기록에는 3040리에 살곶이 목장 터
사복시는 조선시대 병조에 소속된 기관으로 말 사육 및 전국의 목장, 왕의 가마 등을 관장하는 기구로서, 이 지도는 사복시가 관장하던 성동구 일대의 사복시 살곶이 목장지도 司僕寺箭串牧場圖
군대를 훈련시키던 열무장閱武場이기도 했다.3 사복시 살곶이 목장지도司僕寺箭串牧場圖 사복시는 조선 시대 병조에 소속된 기관으로 말 사육과 전국의 목장, 왕의 여행_02. 한강 따라 역사 따라 ② 살곶이다리에서 오두산통일전망대까지
사이에 살곶이목장의 상황을 그린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95호 사복시 살곶이 목장지도司僕寺箭串牧場圖에서 왕실 목장의 실태를 엿볼 수 있다. 위 전국의 전국 목장 138개소의 실태를 그림으로 보여준 목장지도
- 사복시 터
표 석 명. 사복시 터司僕寺址. 임시관리번호. 종로55. 설치연도. 2000. 표석문안. 조선시대 궁중에서 사용하는 수레, 말, 마구, 목장을 맡아보던 관청 기념표석종로55사복시 터司僕寺址
조선시대 궁중에서 사용하던 수레, 말, 마구, 목장을 맡아보던 관청의 터. 궁중에는 내사복시, 도성에는 외사복시, 지방에는 목장을 두었다. 여기에 있던 외사복시는 사복시 터
궁중 마굿간, 사복시 터 조선시대 궁중에서 사용하던 수레, 말, 마구, 목장을 맡아보던 관청의 터. 궁중에는 내사복시, 도성에는 외사복시, 지방에는 목장을 두었다. 궁중 마굿간, 사복시 터
텐데 사복포스팅인데 뭐 코멘트 할게없네여 어디 폐가에서 찍은듯 근데 팔뚝 개얇;;;; 교복입어서 상큼한데 한껏늙어보이는듯ㅌ 아이비는 화보가 그나마 잘나와서 좋음 엑소/ 엑소 카이 사복 모음 1탄 여름, 봄
- 사복시 거덜
그런데 우리가 흔히 쓰는 거덜은 어디에서 왔을까. 거덜은 조선시대 사복시에서 가마나 말을 관리하고 돌보는 하인을 일컫는 말이었다. 사복시 알고 쓰는 말글“물렀거라” 외치던 거덜
조선시대에는 가마나 말을 관리하던 사복시라는 관청이 있었습니다. 본래 거덜은 사복시에서 일하던 하인을 가리키는 말이죠. 거덜은 주로 말을 돌 재미있는 우리말 거덜 나다의 거덜은 신분이었다.
권마성은 본래 임금이 나들이할 때 사복시司僕寺 거덜이 큰 소리로 외치는 호령이었다. 사복시는 가마․말을 맡아보는 관청이고, 거기에 소속된 거덜은 궁중 행차 거들먹거리다, 거덜나다 만물유래사전
고려와 조선시대의 사복시라는 관청인데요, 사복시의 주요 업무는 궁중의 말을일과 가마를 관리하는 일이었습니다. 거덜들은 말을 탄 높은 관리를 모시고 거덜 나다 뜻 및 어원
- 사복시 제조
태조 1년1392 고려의 제도에 의하여 사복시를 설치하고 수레·말·마구·목축 등을 소속관원으로 제조提調 2인과 판관判官 이상의 임원 2인은 구임久任으로 사복시司僕寺
사복시가 주로 군사와 연관이 있기 때문에 병조판서가 통수권자로 병조가 관리하였다. 병조에서 사복시의 제조와 함께 마의서馬醫書 중 하나인 마의
되자 국구로서 영원부원군에 봉하여 졌다. 1488년 영돈녕부사에 이르고 이듬해 사복시제조를 겸하였다. 1495년성종 25 우의정이 되면서 기로소에 들어가고 궤장을 연천 평정공 윤호 신도비와 묘
성종 1년 사복시司僕寺, 임금과 궁궐 소유의 말과 소를 관리하던 관청 제조提調의 현안 보고. 지 역 방목한 수량 손실수량 소牛 말馬 고실 故失 유실 조선왕조실록 사복시司僕寺 제조提調의 마소馬牛 현안 보고성종